궁금해 (3) 썸네일형 리스트형 response.json()? MSW를 공부하면서 handlers를 제작하던 중내가 직접 response를 설정해 주고, fetch 받는 과정에서몇가지 의문이 생겨 글을 쓰게 되었다. 1. 습관처럼 쓰는 fetch 코드async funtion fetchFunction(){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api.movie.com/data'); const data = response.json(); console.log(data);} 지금까지 습관처럼 쓰던 fetch 코드는 위와 같았다.누군가 만들어 놓은 API를 사용할 때, 그냥.. 이렇게 하면.. 데이터가 나왔었다... 습관처럼 쓰던 fetch에서 내가 놓치고 있던 중요한 두가지 포인트는1. 위의 fetch는 기본적으로 GET 요청을.. 토큰? (JWT?) 0. 토큰서버 측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세션과는 다르게,토큰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토큰은 인증된 사용자에게 서버가 발급하는 암호화된 문자열로,클라이언트는 서버와의 통신 시 이 토큰을 직접 전달하여 인증을 받는다. 토큰을 사용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할 필요가 없고,토큰 자체에 필요한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세션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서버는 토큰의 유효성만 검사하면 된다.(정보를 담고있는 만큼, 당연히 세션보다는 용량이 크다.) 대표적인 토큰으로는 JWT가 있다. 1. JWT JWT : Json Web Token 가장 중요한 기능은 위조 여부 확인에 있다.JWT 비밀키를 모르면 변조가 불가능하다.(내용은 비공개가 아니다.) 2. JWT 기본 구조 a. Header.. SPA? CSR? SSR? 알아보자!SPA, MPA, CSR, SSR, SSG! (사실은 Next.js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부여를 위한 포스팅...) 0. 용어 정리 SPA : 단일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페이지를 새로 로드하지 않고, 한 번 로드된 페이지 내에서 동적으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방식, 한번 로드된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동적으로 콘텐츠를 변경하는 방식MPA :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서버에서 새로운 HTML 페이지를 전송받는 방식CSR : 브라우저에서 렌더링을 처리하는 방식SSR : 서버에서 렌더링을 처리하는 방식SSG : 빌드 시 HTML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식 + SPA & CSRSPA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적 특성.. 이전 1 다음